moojigae school
“그네 만들기”는 2학기 살림수업과 기초학습의 활동 주제였다. 본래 아이들과 주제망에서 펼치기로 했던 2학기 살림수업 계획은, 1학기 때 만든 닭장을 수리해 병아리를 키워가면서 나무 소도구들(무기, 몽둥이, 숟가락 등)을 다양하게 만들어 보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숲에서 곤충 관찰하기, 자전거로 양재천 라이딩하기, 스케이트 타기, 요리하기도 아이들이 하고 싶어 했던 활동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2학기 집살림은 계획 대부분을 수정하여 “놀이터 만들기” 그 중에서도 “그네 만들기”를 하며 살림수업을 했다.
코로나19는 하반기에 들어서도 확산세가 잡히질 않았다. 방역 수위는 점차 높아 가고, 등교나 생활 방식에 대한 조심성에 대한 고민도 깊어야만 했다. 어쩌면 우리의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등교 일수가 낮아지거나, 반 구성원 전부가 모이지 못한 채 학교생활이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예상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로 대비해야 하는 현실 상황으로 흘러갔다. 소도구를 정확히 다루고, 하나하나 만들어 나가는 시간 동안 교사가 바라봐 주며 적절한 도움을 주고, 그것을 활용해 함께 놀거나 상황극이든 무엇이든 하는 것. 이 모든 과정의 흐름이 끊어짐 없이 이어져야 한다고 보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2학기 흐름을 교육적으로 잘 펼칠 수 있을지 걱정이 됐다. 한 시간 한 시간, 만들기를 한다고 느낄 수는 있지만 그것을 통해서 ‘좋은 경험을 했다, 재미있었다’ 이외에 무엇을 가져갈 수 있을까, 기초학습으로의 연결은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쉽게 풀어내기 어려웠다.
교사회의 때 반 운영이나 수업에 관한 고민들을 함께 나누면서, “놀이터 만들기”와 같은 방식의 활동으로 교육청지원금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나는 ‘그 주제라면 아이들이 소수 인원으로 등교를 하더라도, 등교하는 날이 줄어들더라도 흐름을 가지고 수업을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기초학습뿐 아니라 살림수업의 목표들을 충족하면서 전개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모습은 이미 머릿속에 구체적인 풍경으로 떠오르는 장면들이 있었고, 남은 건 “놀이터 만들기”가 ‘아이들이 하고 싶은 활동, 곧 우리의 2학기 살림수업 주제’가 될 수 있게 하는 과정이었다. 더불어 지금 집살림 두 교사도 이끌 수 있고, 아이들에게 적절한 기술을 가르쳐 줌으로써 만들고자 하는 것을 완성할 수 있다는 교사들의 확신-혹은 근거 마련 방안도 필요했다. 우선은 나만큼 “놀이터 만들기” 수업 선택에 확신을 보이지 않는 동료 담임교사를 설득해 ‘우리의 계획’이 될 수 있게 소통했다. 나보다 목공 경험과 기술이 있고, 또 아이들 안에서 비슷한 비중으로 수업을 나누어 해 나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뜻 모으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뜻을 모은 다음에는 아이들과의 회의를 준비하면서, 한편으로는 목공과 살림수업 경험이 충분한 전직교사 까마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